공제 가이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완벽 정리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모든 공제 항목을 정리했습니다.
놓치는 공제 없이 최대한 환급받으세요!

💰 소득공제

과세표준(세금을 매기는 소득)을 줄여주는 공제

계산방법: (소득 - 소득공제) × 세율

절세효과: 공제액 × 개인 세율

예시: 100만원 공제시 세율 15%면 15만원 절세

💎 세액공제

계산된 세금에서 직접 차감해주는 공제

계산방법: 계산된 세액 - 세액공제

절세효과: 공제액만큼 직접 절세

예시: 15만원 세액공제시 세금 15만원 감소

기본공제 및 추가공제

기본공제

1인당 150만원

본인, 배우자, 부양가족

  • 직계존속: 60세 이상, 연소득 100만원 이하
  • 직계비속: 20세 이하, 연소득 100만원 이하
  • 형제자매: 20세 이하 또는 60세 이상, 연소득 100만원 이하
  • 위탁아동: 18세 미만

추가공제

50만원~200만원

특별한 상황에 따른 추가 공제

  • 경로우대: 70세 이상 부양가족 100만원
  • 장애인공제: 장애인 부양가족 200만원
  • 부녀자공제: 배우자가 있는 여성 또는 세대주인 여성 50만원
  • 한부모공제: 배우자 없이 기본공제대상자를 부양하는 세대주 100만원

주요 소득공제 항목

연금보험료

전액 공제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 국민연금 보험료는 전액 소득공제
  • 개인연금은 연 72만원 한도 (세액공제)
  • 퇴직연금 IRP 연 700만원 한도 (세액공제)

신용카드 등

총급여 25% 한도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 총급여의 25% 초과 사용분에 대해 공제
  • 신용카드 15%, 체크카드·현금영수증 30% 공제
  • 전통시장·대중교통 40%, 도서·공연 30% 공제
  • 연 300만원(총급여 1.2억 초과시 250만원) 한도

주택자금

항목별 한도

주택청약, 주택마련저축, 주택담보대출

  • 주택청약저축: 연 240만원 한도
  • 주택마련저축: 연 300만원 한도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 연 300만원~1,800만원 한도
  • 월세세액공제: 연 750만원 한도 (세액공제)

특별공제 (선택적 적용)

보험료

연 100만원

건강보험, 고용보험, 일반보험료

  • 건강보험료, 고용보험료: 전액 공제
  • 일반보험료: 연 100만원 한도
  • 장애인 전용보험: 연 100만원 별도 한도

의료비

총급여 3% 초과분

본인 및 가족의 의료비

  • 본인, 65세 이상, 장애인: 한도 없음
  • 그 외 가족: 연 700만원 한도
  • 안경구입비: 1인당 50만원 한도
  • 산후조리원비: 200만원 한도

교육비

항목별 한도

본인 및 가족의 교육비

  • 본인: 전액 공제
  • 취학전 아동: 1인당 300만원
  • 초중고생: 1인당 300만원
  • 대학생: 1인당 900만원

기부금

종류별 한도

법정기부금, 지정기부금

  • 법정기부금: 소득금액 한도 없음
  • 지정기부금: 소득금액의 30% 한도
  • 정치자금기부금: 10만원 한도
  • 우리사주조합기부금: 소득금액의 30% 한도

주요 세액공제 항목

자녀세액공제

1인당 15만원

8세 이상 20세 이하 자녀

3명 이상시 셋째부터 30만원

연금계좌세액공제

납입액의 13.2~16.5%

개인연금, 연금저축, IRP

연 700만원 한도 (50세 이상 900만원)

월세세액공제

납입액의 10~12%

무주택 세대주의 월세

연 750만원 한도

기장세액공제

20만원 또는 60만원

복식부기의무자의 기장

매출액 규모에 따라 차등

💡 공제 활용 꿀팁

연말정산 준비

  • • 신용카드는 총급여의 25% 맞춰 사용
  • • 의료비는 총급여의 3% 초과분부터 공제
  • • 교육비 영수증 미리미리 모아두기
  • • 기부금은 연말에 몰아서 하는 것보다 분산

절세 전략

  • •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활용
  • • 부양가족 기본공제 최대한 활용
  • • 체크카드·현금영수증 사용 늘리기
  • • 월세 거주시 세액공제 신청

지금 바로 계산해보세요!

공제를 적용하여 실제 내야 할 세금을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