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 계산 가이드

연봉부터 실수령액까지 완벽 안내

급여의 구성요소부터 세금 계산까지!
연봉 협상과 실수령액 계산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급여 구성 요소

기본급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기본 급여

  • 고정급여의 핵심 부분
  •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함
  • 연차수당 계산의 기준
  • 퇴직급여 계산의 기준

제수당

기본급 외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

  • 직책수당, 근속수당
  • 위험수당, 야간수당
  • 가족수당, 교통수당
  • 식대, 주택수당

상여금

성과나 회사 실적에 따른 추가 급여

  • 정기상여금 (명절상여 등)
  • 성과상여금
  • 인센티브
  • 연말보너스

공제항목

급여에서 차감되는 항목들

  • 4대보험료 (근로자 부담분)
  •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 근로소득간이세액
  • 기타 공제 (대출이자 등)

2024년 최저임금 정보

2024년

+2.5%

시급

9,860원

월급 (209시간 기준)

2,060,740원

연봉

24,728,880원

2023년

+5.0%

시급

9,620원

월급 (209시간 기준)

2,010,580원

연봉

24,126,960원

2022년

+5.1%

시급

9,160원

월급 (209시간 기준)

1,914,440원

연봉

22,973,280원

📈 최저임금 적용 기준

  • • 근로시간: 주 40시간 기준 (1일 8시간, 주 5일)
  • •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연간 2,088시간 ÷ 12개월)
  • • 적용대상: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모두 포함)
  • • 위반시: 차액 지급 의무 + 3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급여에서 세금 계산 과정

1

총급여액 확인

기본급 + 제수당 + 상여금

연봉 4,000만원

2

근로소득공제

총급여에 따른 공제액

500만원 공제

3

기타 소득공제

인적공제, 연금보험료 등

700만원 공제

4

과세표준 계산

총급여 - 모든 소득공제

2,800만원

5

산출세액 계산

과세표준 × 세율

270만원

6

세액공제 적용

자녀세액공제, 연금세액공제 등

50만원 공제

7

최종 세액

산출세액 - 세액공제

220만원 (연간)

💡 팁: 위 예시는 연봉 4,000만원, 부양가족 1명 기준입니다. 개인별 공제 항목에 따라 실제 세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4대보험료 계산 (2024년 기준)

보험명전체 요율근로자 부담상한액월 300만원월 500만원
국민연금4.5%2.25%월 590만원67,500원112,500원
건강보험3.545%1.7725%월 354만원53,175원62,768원
장기요양0.4545%0.22725%건강보험과 동일6,818원8,047원
고용보험0.9%0.45%월 354만원13,500원15,930원

월급 300만원 총 공제액

140,993원

실수령액: 2,859,007원

월급 500만원 총 공제액

199,245원

실수령액: 4,800,755원

급여 협상 완벽 가이드

입사 전 협상

  • 시장 평균 연봉 조사
  • 본인의 경력과 스킬 정리
  • 세전 vs 세후 급여 구분
  • 복리후생 포함 총 급여 계산

계약서 검토

  • 기본급과 제수당 구분 확인
  • 상여금 지급 조건 확인
  • 연차, 퇴직금 계산 기준 확인
  • 복리후생 세부 내용 확인

연봉 협상

  • 성과 기반 협상 준비
  • 시장 데이터 활용
  • 단계적 인상 제안
  • 비금전적 혜택도 고려

급여 관련 자주 묻는 질문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는?

연봉은 세전 총급여이고, 실수령액은 4대보험료와 소득세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일반적으로 실수령액은 연봉의 80-85% 정도입니다.

13개월 급여란?

기본 12개월 급여 외에 추가로 지급되는 1개월분 급여입니다. 보통 상여금 형태로 지급되며, 연말이나 특정 시기에 지급됩니다.

최저임금 위반시 어떻게 되나요?

최저임금 미만 지급시 차액 지급 의무가 있으며, 위반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급여명세서에 무엇이 있어야 하나요?

지급항목(기본급, 제수당, 상여금), 공제항목(4대보험료, 소득세), 실지급액이 명시되어야 하며, 매월 서면으로 교부해야 합니다.

중요 안내사항

  • • 급여 계산은 개인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 최저임금은 매년 변동되니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정확한 급여 계산을 위해서는 급여 명세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급여 관련 분쟁 발생시 고용노동부나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