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부터 실수령액까지 완벽 안내
급여의 구성요소부터 세금 계산까지!
연봉 협상과 실수령액 계산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기본 급여
기본급 외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
성과나 회사 실적에 따른 추가 급여
급여에서 차감되는 항목들
시급
9,860원
월급 (209시간 기준)
2,060,740원
연봉
24,728,880원
시급
9,620원
월급 (209시간 기준)
2,010,580원
연봉
24,126,960원
시급
9,160원
월급 (209시간 기준)
1,914,440원
연봉
22,973,280원
기본급 + 제수당 + 상여금
연봉 4,000만원
총급여에 따른 공제액
500만원 공제
인적공제, 연금보험료 등
700만원 공제
총급여 - 모든 소득공제
2,800만원
과세표준 × 세율
270만원
자녀세액공제, 연금세액공제 등
50만원 공제
산출세액 - 세액공제
220만원 (연간)
💡 팁: 위 예시는 연봉 4,000만원, 부양가족 1명 기준입니다. 개인별 공제 항목에 따라 실제 세액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험명 | 전체 요율 | 근로자 부담 | 상한액 | 월 300만원 | 월 500만원 |
---|---|---|---|---|---|
국민연금 | 4.5% | 2.25% | 월 590만원 | 67,500원 | 112,500원 |
건강보험 | 3.545% | 1.7725% | 월 354만원 | 53,175원 | 62,768원 |
장기요양 | 0.4545% | 0.22725% | 건강보험과 동일 | 6,818원 | 8,047원 |
고용보험 | 0.9% | 0.45% | 월 354만원 | 13,500원 | 15,930원 |
140,993원
실수령액: 2,859,007원
199,245원
실수령액: 4,800,755원
연봉은 세전 총급여이고, 실수령액은 4대보험료와 소득세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일반적으로 실수령액은 연봉의 80-85% 정도입니다.
기본 12개월 급여 외에 추가로 지급되는 1개월분 급여입니다. 보통 상여금 형태로 지급되며, 연말이나 특정 시기에 지급됩니다.
최저임금 미만 지급시 차액 지급 의무가 있으며, 위반시 3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급항목(기본급, 제수당, 상여금), 공제항목(4대보험료, 소득세), 실지급액이 명시되어야 하며, 매월 서면으로 교부해야 합니다.